서울복지타임즈 이재연 기자 | 서울 용산구는 올해부터 교육경비 보조사업의 일환으로 ‘학교 교육활동 사각지대 지원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학생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권을 보호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최근 대전에서 발생한 초등학생 사망 사건을 계기로, 구는 늘봄학교 및 돌봄교실 종료 이후 귀가하는 초등학생들의 안전을 위한 대응책으로 ‘학생 안전돌보미’ 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등·하교 시간 통학로 안전 확보 ▲교육과정 종료 후 자유놀이 시간의 안전 관리 ▲돌봄교실 이후 학부모에게 인계되기 전까지의 귀가 안전 지원 등 학생들의 일상 속 안전을 다각도로 촘촘히 살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사업에는 관내 8개 초등학교가 참여하며, 구는 이를 위해 총 5천만 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구는 이러한 선제적 지원이 학교 안팎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를 예방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는 이번 사업 외에도 지난 3월에는 특수교육대상자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 생활지도가 필요한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보조 운영과 학교 안전사업을 위한 예산으로 총 1억 6천만 원을 관내 14개 학교에 지원한 바 있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돌봄 공백을 해소하고, 학생들이 안정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그동안 구는 학교 간담회 등 현장 중심의 소통을 통해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왔다. 이러한 노력이 학부모들의 교육환경에 대한 신뢰와 만족도 향상으로 이어졌으며, 구는 앞으로도 학교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교육활동의 사각지대를 꼼꼼히 발굴하고, 실질적으로 필요한 맞춤형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학교는 우리 아이들에게 가장 안전한 공간이어야 한다”라며, “학생들이 안심하고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이며, 아이들의 안전을 지키는 든든한 지킴이가 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