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복지타임즈 이재연 기자 | 전동화와 무선화로 대표되는 미래산업 환경 변화 속에서 이차전지는 모든 사물의 동력원이자, 글로벌 친환경 트렌드에 부합하는 지속 가능한 성장의 핵심 분야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광역시는 이러한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역기업들이 기술개발과 제품 상용화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대구시는 2022년부터 ‘차세대 배터리 중심 에너지 기업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 특성에 적합한 이차전지 중심의 전·후방 에너지산업을 육성하고, 기업 역량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 사업은 대구기계부품연구원이 주관하며, 차세대 배터리 등 에너지 관련 기술개발과 시제품 제작을 지원해 선행기술 확보 및 상용화를 촉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총 26건의 과제를 수행했으며, 그 결과 약 44억 원의 사업화 매출과 23건의 특허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우수사례로는 ㈜에이시스테크놀로지가 2023년에 수행한 ‘이차전지 전극 자동 두께 측정 시스템 개발’ 과제가 있다. 기존 수동 장비에 동축변위센서를 적용해 전극 두께를 실시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 기존 장비 대비 30% 이상의 원가절감 효과를 달성했다. 이 제품은 당해연도(2023년) 약 20억 원의 사업화 매출을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연구기관 등을 중심으로 추가 수주가 이어졌다.
올해 기업지원 공모도 큰 관심을 끌었다. 3월부터 두 달간 진행된 공모에는 4개 과제 모집에 18개 기업이 신청하며 4.5: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선정된 과제로는 ▲고주파 전기장을 활용한 배터리셀 용접부 결함 실시간 비파괴 전수검사 시스템 개발 ▲전기차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금속 커버를 대신할 경량·고강도·고방열 나노복합소재 기반 셀 케이스 개발 등이 있으며, 시제품 개발 완료 시 매출 창출이 기대된다.
이호준 대구광역시 에너지산업과장은 “이차전지는 전기차, 도심항공교통(UAM),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미래산업의 핵심기술로, 향후 10년간 급속한 성장이 예상된다”며, “대구시는 지역기업들이 선도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