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복지타임즈 이재연 기자 | 서울 성동구는 지난 3월 6일 제8기 성동적정기술연구회 출범에 따른 오리엔테이션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성동적정기술연구회’는 최적의 기술을 접목하여 최소 비용으로 자원을 절감하며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적정기술’을 연구하는 학술동아리이다. 이 연구회는 2019년 제1기를 시작으로 올해 제8기를 맞이하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적정기술을 행정에 적용하여 지속가능한 포용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오리엔테이션에서는 연구회 및 성동구 스마트 정책 소개, 직원들의 인공지능(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챗지피티(ChatGPT) 활용 스마트 행정'에 대한 주제로 챗지피티(ChatGPT) 프롬프트 실습 특강이 진행됐다.
향후 연구회의 운영 방식은 외국 우수사례 조사, 아이디어 제안, 적정기술 발굴 및 접목하는 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3개 분과로 구분하여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고 논의한다. 이와 함께 연구회 운영 시 온라인 활동 활성화를 위해 단톡방 개설로 회원 간 소통을 강화하며 특히, 올해는 회원들을 인공지능(AI) 핵심 인재로 양성하기 위하여 챗지피티(ChatGPT) 유료 버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그동안 단순한 상상과 의견으로 사장될 수도 있었던 참신한 아이디어들이 성동적정기술연구회를 통해 생활 속 불편 해결과 구민들의 편리한 일상을 열어주는 적정기술로 거듭나 성동구의 자부심을 드높인 ‘성동형 적정기술’ 사업들이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성동구에서 최초 도입한 큐알(QR)코드 기반의 '성동형 모바일 전자정부', 구 홈페이지를 통해 방문민원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민원 대기현황 안내서비스', 주민들의 안전한 휴식처 '성동형 스마트 쉼터', 주민의 안전을 생각하는 '성동형 스마트 횡단보도', 빗물감지센터를 이용한 자동개폐시스템 '성동형 스마트 빗물받이', 범죄 예방을 위한 ‘산책로 범죄예방시스템’ 등이 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제8기 성동적정기술연구회 회원들의 당찬 포부와 함께 성동구를 더 발전적으로 이끌어 가기를 희망한다"라며 “직원들의 고민과 연구들이 성동구 생활 속 불편 사항을 개선하여 모두가 함께 편리한 일상을 누리는 스마트포용도시 성동을 구현하는데 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