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복지타임즈 이재연 기자 | 경상남도는 최근 영유아 수족구병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영유아가 있는 가정과 관련 시설에 철저한 위생관리와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6월 15일부터 21일까지 수족구병 환자 발생률은 외래 환자 1,000명당 5.8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0~6세 영유아의 경우 1,000명당 8.3명으로 7~18세(1.9명)에 비해 훨씬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수족구병은 매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증가해 6월에서 9월 사이에 주로 발생하는 특성이 있어, 당분간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수족구병은 장바이러스(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환자의 대변, 침, 가래, 콧물 등 분비물과 접촉하거나 오염된 물건을 통해 쉽게 전파된다.
주요 증상으로는 손, 발, 입안의 수포성 발진이 나타나며, 발열, 무력감, 식욕 감소, 설사, 구토 등이 동반될 수 있다. 드물지만 뇌막염, 뇌염 같은 중증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족구병 의심증상이 있다면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수족구병에는 예방접종이 없기 때문에, ‘올바른 손씻기’와 같은 개인 위생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에는 반드시 비누나 세정제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깨끗하게 손을 씻어야 한다.
또한, 환자 발생 시 가정과 영유아 관련 시설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가정에서는 ▲수포 등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 진료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 증상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다중이용시설 방문 자제 ▲환자 관련 물품(의류, 침구류 등)은 반드시 철저하게 세탁하고 및 소독하여 관리해야 한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는 환자 접촉 시 개인 위생 및 시설 소독 강화, 장난감, 문손잡이 등 손 닿는 곳 수시 소독, 환자가 완전히 회복할 때까지 집단시설의 등원을 자제토록 해야 한다.
노혜영 경남도 감염병관리과장은 “개인위생 수칙 준수가 수족구병 예방의 최선이다”면서, “영유아가 있는 가정과 보육시설에서는 손 씻기와 물품 소독 등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실천해 우리 아이들이 안전하고 건강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