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3 (월)

  • 맑음동두천 12.1℃
  • 맑음강릉 12.4℃
  • 맑음서울 15.9℃
  • 맑음대전 13.7℃
  • 구름조금대구 16.3℃
  • 흐림울산 15.5℃
  • 맑음광주 15.3℃
  • 구름조금부산 16.3℃
  • 맑음고창 12.9℃
  • 구름많음제주 18.2℃
  • 맑음강화 13.4℃
  • 맑음보은 11.5℃
  • 맑음금산 10.9℃
  • 구름조금강진군 12.9℃
  • 구름많음경주시 15.7℃
  • 맑음거제 14.8℃
기상청 제공

장애인

청주시, 꿈의 배터리 '전고체 전지' 차세대 소재 개발 및 제조 기반 구축사업 공모 선정

우수한 상용배터리 산업생태계 기반으로 차세대 전지분야 확장

 

서울복지타임즈 이재연 기자 | 청주시는 산업통상자원부 ‘전고체 전지용 차세대 소재 개발 및 제조 기반 구축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초격차 기술 확보를 위해 전고체 전지 핵심소재인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대상으로 소재 개발·제조 지원 및 시험 분석·성능평가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청주시와 충북도는 2028년까지 5년간 총 232억원(국비 100억원, 도비 62억 5천만원, 시비 62억 5천만원, 민자 7억원)을 투자해 오창 BST존(Battery Safety Testing Zone)에 3개 층 규모(연면적 2,880㎡)의 시설을 구축할 예정이다.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개발 지원 제조 장비 △제품 생산용 10kg급 고체전해질 제조 장비 △전고체 전지 제조 시스템(500mAh 대응) 등의 첨단 장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꿈의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국내외 기업 개발 착수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배터리로 화재 위험성이 적고 주행거리는 길어 ‘꿈의 배터리’로 불리고 있다.

 

국내 기업으로는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 등이 이미 개발에 들어간 상황이며, 전고체 양산 시점을 각각 2027년 및 2030년으로 계획 중이다.

 

일본의 닛산 및 도요타 등 자동차 기업들도 전고체 배터리 기술 상용화에 속도를 내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 청주시 ‘전고체 배터리’차세대 소재개발 공모사업 선정

 

이처럼 국내외 기업들이 전고체 배터리 개발 주도권 경쟁에 불이 붙은 상황에서, ‘전고체 전지 차세대 소재 개발 및 제조 기반 구축 공모사업’에 청주시가 선정된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청주시는 이차전지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2021년 1월) 및 국가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 지정(2023년 7월)으로 우수한 상용배터리 산업생태계를 구축했다. 기 구축 중인 소재부품 시험분석 테스트베드 및 배터리 제조·검증 지원센터 50Ah 파우치셀 제조라인과 연계해 차세대 전지용 소부장 분야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상용 이차전지가 성능 면에서 한계에 가까워지면서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이 미래의 새로운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차세대 소재 개발 및 제조 기반 구축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청주 오창 지역이 이차전지 인프라 집적화로 세계적인 이차전지 R&D 클러스터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